책 <현업 기획자 도그냥의 서비스 기획 스쿨>

정의

  • 해외의 프로덕트 매니저와 하는 일이 비슷하다.

  • 말 그대로 기획을 하는 사람

  • 시대에 따라 필요한 능력들이 추가되면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곤 한다.

하는 일

  1. UX와 비즈니스 모델까지 생각한다.

    1. CGV, 네이버 앱 메인화면 사례

  2. 개발환경과 비용까지 생각한다.

    1. 씀의 임시저장, 자동저장 기능 사례

  3. 서비스 전체의 선순환을 생각한다.

    1. 원티드 연차 입력기능 사례

  • 서비스 기획자의 관점은 단순히 불편에 머물러서는 안된다.

  • 비즈니스 모델과 전략, 개발환경과 비용, 서비스 전체의 순환구조가지 고려하는 폭넓은 시각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고객이 사용하는 UI 를 고치는 기획자가 아니라 여러 방향에서 서비스 전체를 볼 수 있는 서비스 기획자가 되어야 함

서비스 기획자의 본질

  • 문제없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

  • UX 분석하여 얻은 비즈니스 이슈를 해결하고 구현해낸다는 것

서비스 기획에서 가장 중요한 것

  • 문제해결

  • 방법론 그 제체에 집중하기 보다는 해결책을 찾아가는 방법

구글의 스프린트

  • 5일만에 프로토타입을 만들어서 실용적인 서비스 전략을 얻어내는 방법

  • 1일 : 주제에 대해서 10명 이내의 관계자가 해결하려는 문제의 구조와 이면의 이슈들을 분석하여 핵심 주제와 타깃을 설정

  • 2일 : 이에 대한 해결방식을 각자 스케치하고

  • 3일 : 각자 아이디어를 내서 최적의 솔루션을 선정하고 서비스 흐름을 만들어본다.

  • 4일 : 1-3개의 현실적인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 5일 : 4명의 타깃 고객을 대상으로 사용자 테스트를 진행하여 피드백을 얻는다.

순환구조의 중요성

  • 아마존의 플라이 휠 전략

비즈니스 전략과 서비스 기획

  • 서비스가 사용되는 시장과 환경을 고려하여 법률적인 검토도 필요

  • 고민의 깊이가 중요하다.

워터폴방법론과 애자일

  • 워터폴

    • "기획-디자인-개발-테스트-오픈" 의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방식

    • 한 단계가 끝나면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기 때문에 기획자는 신중하게 기획을 해야한다.

    • 장점

      • 프로젝트의 정해진 기간이 명확하다.

      • 제대로 기획되었다면 산출물이 좋다.

    • 단점

      • 유연성 부족

      • 기획자에게 요구되는 범위가 많음

    • 1950년대에 생겨나서 70년 넘게 사용되어왔으나 더이상 시대의 흐름을 따라갈 수 없게 됨

  • 애자일

    • 2001년 켄트 백을 중심으로 개발자 17명이 애자일 선언을 하며 촉발한 사상적인 변화

    • 기존 워터폴 방식의 선형적인 프로세스는 빠르게 변화하는 IT 세상에 적합하지 않고 대안적인 프로세스가 필요함

    • 변화에 유연한 프로젝트 방법을 주창

    • 기획, 디자인, 개발이 처음부터 프로젝트의 팀원으로 함께 참여하여 서비스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상태에서 더 좋은 서비스를 만들자

    • 기획자는 사용자 스토리 백로그를 작성하는 것이 주요 업무가 된다.

      • 전체 서비스가 갖춰야할 고객의 목표와 핵심 결과를 사용자 목표에 따라 잘게 나눠 작성한 요구사항정의서

      • 디자이너와 개발자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하며

      • 몇 개의 백로그를 합쳐 스프린트를 만든다. 하나의 스프린트는 2-3주

      • Epik - Task - Sub Task

    • 기획자의 미션

      • 꿈꾸는 서비스에 대해서 더 많이 고민하고 그 고민을 프로젝트 팀원 모두에게 본인과 비슷한 수준으로 이해시키는 것

      • 모두의 사상과 목표를 합치시킬 수 있어야 한다.

방법론은 거들뿐 기획은 기획!

서비스가 내 자식 같으려면

  • 전체 프로덕트가 지향하는 방향 안에서 주어진 미션을 완결성있는 서비스로 만들어야 한다.

  • 서비스의 완결성은 고민의 깊이와 넓이에 의해 결정된다.

  • 고민이란 자사의 IT구조와 역량, 비즈니스적 이해, 고객의 UX 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서비스 전략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의미한다.

기획자가 가장 먼저 해야할 것

  • 고객을 이해하는 것이다.

  • UX분석이다.

역기획법으로 기획 혼자 공부하기

기획자 vs. 오퍼레이터

  • 기획자가 단순 반복되는 일을 하고 있다면 본인의 업무 태도를 점검해봐야한다.

  • 오퍼레이터는 단순히 운영팀과 프로덕트팀 사이의 간극을 매우기만 한다.

  • 서비스 기획자는 비즈니스 목표나 문제를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해결책을 제안하는 사람이다. 다만 고객의 사용자 경험과 자사의 시스템과 기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구현가능한 해결책을 제안해야 한다.

마인드맵 그리기

  • 1단계 : 필요한 기능과 데이터를 정의한다.

    • 일단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데이터 항목이나 기준을 생각나는대로 쓰고 정리는 나중에 하기

    • 첫째 : 서비스의 재료가 되는 기능과 데이터 생각해보기

      • 데이터, 기능, 목표 등 세가지로 구분해서 떠올리기

      • 예시

        • 서비스 : 인근 미용실 지도

        • 기능

          • 미용실을 지도에 표시

          • 지도위의 표시를 누르면 상세 정보를 보여준다.

        • 데이터 : 미용실 상호, 미용실로고, 미용실 주소지와 좌표

    • 둘째 : 데이터 활용 정책 정하기

      • 10분 내외로 걸을 수 있는 200m 를 디폴트 값으로 한다.

      • 조회할 결과가 없다면 팝업으로 알림을 표시한다.

    • 셋째 : 서비스 운영과 관련된 제약사항 떠올리기

      • 법적인 문제소지 미리 검토하기

      • 서비스 이용자의 위치정보 활용 동의 필요

  • 2단계 : 내부와 외부 사용자별 플로우를 정리한다.

    • 내부사용자(사내)와 외부사용자(고객)의 입장에서 처리될 플로우들을 정리한다.

  • 3단계 : 정보구조(Information Architecture) 작성하기

    • 트리방식으로 정리되는 정보 구조 체계를 의미함

    • 페이지 정의

개발자와 협업하기

  • 개발자와 만날때 가장 추천하는 방법은 요구사항정의서를 작성해서 리뷰하는 것

UI 설계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