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마켓 역기획 사례

도그냥 역기획 스터디 문윤선님 발표

1. 서비스 소개

  • 당근 마켓은 중고거래 플랫폼이 아니라 로컬 커뮤니티 플랫폼이다.

  • 중고 거래는 동네 사람들끼리의 커뮤니티 활동 중 하나일 뿐

1-1. 서비스 비전 & 미션

  • 중고거래를 넘어 무너진 지역 커뮤니티를 AI와 모바일 기술을 이용해 재건한다.

  • 모바일 기술 발달로 인한 상실감과 공허함을 채워주고 싶다.

  • 서비스 키워드

    • 이웃, 따뜻함, 연결, 공유, 만남, 신뢰

1-2. 서비스 목표

  • 사람들이 많이, 자주 모이면 돈을 벌 수 있다.

  • 로컬 기반으로 주민-주민 연결, 비즈니스-주민 연결 -> 네트워크 효과 -> 비즈니스 가치 창출

1-3. 서비스 전략

  • 로컬로 사용범위 넓히기

  • 중고거래 말고도 이웃들이 만나게 하자

    • <놀면뭐하니>에 동네생활 기능 PPL

    • 관심사 기반 모임 커뮤니티 남의집에 10억원 규모의 투자 진행

1-4. 서비스 구조

  • 신뢰를 바탕으로 이웃끼리 자주 만나고 따뜻함을 나누기 쉽게 되어 있는가

  1. 의문 1 : 오프라인으로 만나는 건데, 혹시 이상한 사람은 아닐까? 믿을만한 사람일까?

    1. 매너온도, 판매글 등을 통해 확인

  2. 의문 2 : 이미 모집이 완료되었나? 물어보고 싶은데 작성자에게 채팅을 걸 방법이 없다.

    1. 작성자의 판매글을 찾아서 우회한다.

  3. 의문 3 : 댓글이 많이 달리긴 했는데 이 사람들은 과연 만난 것일까. 안만난 것일까

    1. 최초 모임 이후 카카오톡 등으로 이탈하기 때문에 남겨진 사람들은 알 수 없다.

2. 문제의식

2-1. 문제 정의

  • 당근마켓은 여전히 중고거래에 최적화된 서비스 구조를 가지고 있다.

  • 동네 게시글의 필터링 기능이 부족

  • 커뮤니케이션 방식 : 1대 1 커뮤니케이션만 제공하기 때문에 여러명이 지속적으로 소통하기 어렵고 모임의 히스토리도 쌓이지 않는다.

2-2. 개선 방향성

  • 신뢰를 바탕으로 이웃끼리 자주 만나고 따뜻함을 나누기 쉽게 개선하여 서비스 활성화를 통해 유저 lock-in 과 선순환 효과를 얻자.

  • 온라인에서 모임 개설, 참여자 모집

  • 오프라인 모임

  • 모임 후기, 히스토리 온라인에 업로드

  • 온라인 소통 활성화, 커뮤니티 신뢰도 상승

  • 이미 지역 기반으로 유저가 필터링 되어있는 당근마켓에는 아주 최적의 방법!

3. 개선안 도출

3-1. 개선 레퍼런스

  • 러닝크루 1936

    • 당근마켓에서도 모임 - 히스토리 - 아이덴티티 형성되면 그 자체로 하나의 브랜드가 되어서 동네 비즈니스와 재미있는 협업을 할 수 있지 않을까

  • 소모임 서비스

    • 카톡 없이도 하나의 앱 안에서 소통/히스토리 관리가 가능

    • 앱 체류 시간도 늘어나고 유저 맞춤 타겟 광고도 가능해진다.

3-2. product 별 단기적 개선과제

  • 유저 프로필 개선

    • 회원 가입 단계에서 관심 분야 선택 프로세스 추가

  • 동네생활 게시글 작성/탐색 기능 개선

  • 동네생활 커뮤니케이션 히스토리 관리 기능 개선

3-3. 문제해결 검증 가설 및 검증 매트릭

  1. 커뮤니티 기능 강화를 통한 유저 간 소통 증대 및 lock in 효과가 있을 것이다.

  2. 유저의 관심 분야와 가입한 모임 데이터를 통해 타겟 광고가 가능할 것이다.

  3. 중고거래 앱에서 로컬 커뮤니티 플랫폼으로 이미지 변화가 가능할 것이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