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IP - Transport Layer

TCP, UDP

  • transport layer 에서는 TCP, UDP 가 대표적

  •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받은 메시지를 세그먼트 혹은 데이터그램 단위로 분할한다.

  • 데이터가 오류없이 순서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1. TCP

1-1. 가상회선 패킷 교환 방식

  • 송신 호스트 - 수신 호스트 사이의 통신에서 패킷들이 1, 2, 3 순서대로 보내지면 1, 2, 3 순서대로 도착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즉, 전송된 데이터의 순서와 정확성을 보장한다.

1-2. 오류검사 메커니즘

  • 재전송 : 시간 초과 기간이 지나면 서버는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해서 재전송을 시도한다.

  • 체크섬 : 체크섬을 통해서 데이터의 무결성을 평가한다. 송신된 데이터의 체크섬과 수신된 데이터의 체크섬 값을 서로 비교하여 올바르게 왔는지를 확인한다.

1-3. header

  • 20-60 byte 로 길이는 가변적이다.

2. UDP

2-1. 데이터그램 패킷 교환 방식

  • 송신 호스트 - 수신 호스트 사이의 통신에서 패킷들이 1, 2, 3 순서대로 보내진다고 해도, 도착 순서를 보장할 수 없다.

2-2. 단순 체크섬만 지원

  • 오류 검사는 단순한 체크섬만 지원한다.

2-3. 헤더

  • 8바이트로 고정된 길이이다.

3. 비교하기 : TCP vs. UDP

  • 패킷의 교환방식

    • 가상회선 패킷 교환방식 - 데이터그램 패킷 교환방식

  • 신뢰성

    • 신뢰도가 높음 - 신뢰성 낮음

  • 오류검사

    • 문제 발생시 재전송, 체크섬 지원 - 체크섬만 지원

  • 패킷의 순서보장

    • 순서 보장 - 순서 보장 안함

  • 헤더 길이

    • 20-60byte 가변적 - 8byte 고정적

  • 연결보장

    • 연결을 보장한다. 3way 핸드 쉐이크로 연결을 맺고, 4way 핸드쉐이크로 연결을 해제하는 작업을 한다.

    • 연결을 보장하지 않는다. 그냥 데이터를 보낸다. 연결을 유지하고 해제하는데 드는 비용이 없다.

  • 브로드캐스트 지원

    • 지원하지 않는다. - 지원한다.

  • 속도

    • 느림 - 빠름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