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월급쟁이로 시작한 38살 그녀는 어떻게 30억을 벌어 파이어족이 되었을까?>

  1. 근로소득 - 목돈을 마련하여 부의 기초 체력을 쌓는다

    1. 월급

      1. 광고회사의 기획자로 커리어를 시작

      2. 약 94개월 = 8년간 직장 생활을 하면서 약 2억원의 목돈을 마련

    2. 사이드잡

      1. 단골 술집 인수로 본격적인 퇴사 준비를 시작함

      2. 같이 동업할 지인 3명과 함께 투자하고 2년간 운영함

      3. 사실상 사업수익은 없었지만, 그래도 나만의 사업을 운영하는데 좋은 공부가 됨

  2. 사업소득 - 거시적인 돈의 흐름을 파악한다.

    1. 창업

      1. 1인 술집 <원부술집>을 차림

        1. 사업 소득자가 되니, 운용하는 돈의 단위가 달라지게 됨

        2. 하지만 24시간 사업에 대해 생각하며 월 순수익은 500만원 정도였음. → 지속가능함을 느끼지 못함

        3. 돈과 시간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됨

      2. 성장

        1. 동업

        2. 사람관리

        3. 변화의 속도

      3. 확장 : 10개 공간을 창업하면서 배운 것들

        1. 아름다운시절

        2. 원부술집

        3. 모어댄위스키

        4. 하루키술집

        5. 팝업술집 프로젝트 (3곳)

        6. 신촌극장과 신촌살롱

    2. 저작권

      1. 콘텐츠로 소득을 다양화

      2. 공동저서로 작가데뷔

      3. 단독 저자로 창업 에세이

      4. 커리어 수업을 계기로 세번째 책

      5. 다양한 매체를 통해 영역 확장

    3. 컨설팅

      1. 공간 창업 관련 수업 브랜드를 만들다. → 좋은 시도였지만 성적은 저조

      2. 문토 <갑니다, 독립술집>

        1. 20명 모집, 순식간에 모객 마감 → 반 2개로 운영, 대히트!

        2. 6번의 모임에 20만원

        3. 10개월간 모임장으로 진행

        4. 그만둔 이유 : 계속되는 술모임, 비용문제, 불만, 성장가능성 등

      3. 배민 아카데미에서 사장님들을 위한 강연 : 대히트!

        1. 강연료 꽤 많이 받음

        2. 이 강연 이후 기업 및 스타트업의 장기 컨설팅 기회가 많아짐

      4. 나만의 강의 커리큘럼 만들어보기

        1. 주제잡기 : 오직 나만이 전할 수 있는 이야기에 집중한다.

        2. 타깃 설정 : 누가 들으면 좋을까

        3. 필요성 고민

        4. 기대 효과 예측

          1. 수업을 들은 대상자의 효용

          2. 강연자로서 나의 효용

        5. 회차 및 비용 설계

          1. 1회성 혹은 연속성?

          2. 처음이라면 내가 가진 콘텐츠 주제에 걸맞는 플랫폼과 협업도 좋음

  3. 자본소득 : 이자, 임대, 투자 수익 등 / 부의 퀀텀 점프(대약진)을 이룬 시기

    1. 부동산 1.

    2. 주식

    3. 자산운용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