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Saas, IaaS, PaaS

클라우드

  •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서버 및 그 내부에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등을 말한다.

  •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내가 직접 하드웨어 서버를 구축하여 돌리지 않아도, 온라인에 분산되어 존재하는 데이터센터를 통해 컴퓨터 장비를 구축할 수 있다.

on-premise

  • 직접 인터넷 데이터 센터(Internet Data Center) 를 구축하여 기업이나 개인이 자체 시설 내에서 서버를 보유하고 직접 유지 및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off-premise

  • 기업이나 개인이 자신의 컴퓨터 자원을 이용하지 않고, 온라인 상에 존재하는 IDC 데이터 센터의 자원을 이용하여 서버를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

  • 직접 전력, 위치, 서버세팅, 확장성을 고민하지 않아도 되고 서비스 운영에만 집중할 수 있다.

SaaS, software as a service

  • 완성된 소프트웨어를 인터넷 서비스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 예를 들면 구글 드라이브나 구글 독스, 구글 캘린더와 같은 것들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으로 서버와 저장소를 준다.

  • 자취방으로 따지자면, 풀옵션이 아니라 그냥 빈 방을 주는 것이다.

  • 위의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Iaas 는 가상머신 위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각 컴포넌트가 구동된다.

  • 클라우드에 종속되지 않고 이식성이 뛰어나다. (=자유도와 유연성이 높다)

  • 하지만 운영에 비용이 많이 든다. (모니터링, CI/CD, testing 등 하나부터 열까지 다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

  • 대표적으로 AWS EC2 가 있다.

PaaS, platform as a service

  • 플랫폼을 제공한다.

  • 자취방으로 따지자면, 풀옵션 방을 주는 것이다.

  • 미리 만들어진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모니터링, CI/CD 등 필요한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운영비가 저렴해진다.

  • 하지만 IaaS 보다 유연성이 떨어지고, 플랫폼에 종속되기 때문에 플랫폼에서 제공해주는 서비스에 맞춰 구성이 필요하다.

  • 대표적인 예로 heroku 등이 있다.

Iaas vs. Paas

  • Iaas

    • 서버나 데이터베이스 등 인프라를 제공한다.

    • 이식성이 높고 유연하다.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는다.

    • 하나부터 열까지 다 직접 구현해야하기 때문에 운영비용이 높다.

  • Paas

    • 플랫폼을 제공하며

    • 이식성이 낮고 플랫폼에 매우 종속적이다.

    • 하지만 미리 만들어진 것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운영비용이 낮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