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그냥 님이 말하는 진짜 역기획

1. 역기획에 대한 착각 2가지

  1. 동종 업계 서비스의 UI를 보면서 무엇을 잘했는지, 못했는지를 보는 것이다.

    1. UI를 정하기 전에 왜 그 화면이 나올 수 밖에 없었는지 그 기획의 흐름을 찾아가는 것이다.

  2. 서비스를 잘 분석해낼 줄 알면, 기획력이 늘어날 것이다.

    1. 기획은 기획을 해봐야 는다.

    2. 역기획을 통해서 기획을 할 수 있어야 한다.

2. 역기획 방법의 4단계

  1. 서비스를 선택하고 서비스의 구조와 수익구조를 파악한다.

    1. 비슷한 서비스를 많이 써보면 어느정도 흐름을 파악하기가 쉽다.

  2. 데이터 가설을 설정하고 서비스를 써보면서 검증한다.

  3. 회사의 목표와 전략, 특징에 대해서 조사하고 분석한다.

  4. 동일한 전략에 대한 문제해결방식을 비교한다.

3. 역기획 방법의 7단계

  1. 서비스를 선택하고 서비스의 구조와 수익구조를 파악한다.

  2. 회사의 목표와 전략, 특징에 대해서 조사하고 이해한다.

    1. 뉴스기사, 대표 인터뷰, 비전발표 등

  3. 서비스의 특이하고 불편한 점을 찾아서 어떤 전략적 이유에서 선택했는지 추론한다.

    1. 해당 서비스의 기획자는 무조건 나보다 똑똑한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진행한다. 누구보다 서비스에 대해 많이 고민한 사람은 그들일 것이기 때문임!

  4. 전략에 비해서 미진하게 느껴지는 문제점을 찾아낸다.

  5. 동종업계를 벗어나 동일한 프로세스와 전략적 문제를 잘 해결한 서비스를 추가 분석한다.

    1. 배달의민족 - 야놀자

  6. 원래 택한 서비스의 전략을 바탕으로 문제해결할 수 있는 기획안을 제시한다.

  7. 많은 사람들 앞에서 기획안을 발표하고 피드백 받기

    1. 전략을 바탕으로 문제를 제기했는가

    2. 문제에 올바른 해결방법을 제시했는가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