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선 LAN과 무선 LAN

1. 유선 LAN 기술

유선 LAN 을 이루는 이더넷은 IEEE802.3 이라는 프로토콜을 따르며, 전이중화 통신을 사용한다.

  • IEEE802.3 : 이더넷에서 물리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매체 접근 제어를 정의하는 표준집합이다.

  • 이 표준은 광역 통신망 기술에도 사용되긴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근거리 통신망에 많이 사용된다.

  • 물리연결은 동축케이블, 광케이블 등 다양한 형태의 케이블을 통해 노드와 infrastructure 장치(허브, 스위치, 라우터)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1-1. 전이중화 통신, full duplex

  • 양쪽 장치가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방식

  • 송신로와 수신로로 나누어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식

  • 현대의 고속 이더넷은 모두 이 방식을 기반으로 통신하고 있다.

1-2. CSMA/CD

  • 전이중화 통신 이전에는 반 이중화 통신 중 하나인 CSMA/CD 방식을 사용했다.

    • 이 방식에 따르면 데이터를 보낸 이후, 충돌이 발생하면 일정 시간 이후 재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1-3. 유선 LAN 을 이루는 케이블

  •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 twisted pair cable 은 하나의 케이블처럽 보이지만, 실제로는 여덟개의 구리선을 두개씩 꼬아서 묶은 케이블을 지칭한다.

    • 케이블은 구리선을 실드 처리하지 않고 덮은 UTP 케이블과 실드 처리하고 덮은 STP 로 나뉘어진다.

    • 우리가 흔히 보는 케이블은 UTP 케이블이고, 흔히 LAN 케이블이라고 한다.

    • 참고로 이 LAN 케이블을 꽂을 수 있는 커넥터를 RJ-45 커넥터라고 한다.

  • 광섬유 케이블

    • 광섬유로 만든 케이블. 레이저를 이용해서 통신하기 때문에 구리선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의 장거리 고속통신이 가능하다.

    • 보통 100Gbps 의 데이터를 전송하며, 광섬유 내부와 외부를 다른 밀도를 가지는 유리나 플라스틱 섬유로 제작해서 한번 들어간 빛이 내부적으로 계속 반사하며 전진하여 반대편 끝가지 가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 빛의 굴절률이 높은 부분을 코어라고 하고, 낮은 부분을 클래딩이라고 한다.

2. 무선 LAN

2-1. 특징

  • IEEE802.11 : 수신과 송신에 같은 채널을 사용하기 때문에 반이중화 통신을 사용한다.

  • 반이중화 통신, half duplex

    • 양쪽 장치는 서로 통신할 수 있지만, 동시에는 할 수 없다.

    • 한번에 한 방향만 통신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장치가 신호를 수신하기 시작하면, 응답하기 전에 전송이 완료될 떄까지 기다려야한다.

    • 둘 이상의 장치가 동시에 전송하면, 충돌이 발생한다. 그러면 메시지가 손싱되거나 왜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돌방지 시스템이 필요하다.

2-2. CSMA/CA

  • 반 이중화통신 중 하나로 장치에서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캐리어 감지 등으로 사전에 가능한 한 충돌을 방지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 과정

    • 데이터 송신하기 전에 무선 매체를 먼저 살펴본다. 비어있는 채널이 있는지!

    • 커리어 감지, 회선이 비어있는지를 판단한다.

    • IFS (Inter FrameSpace) : 랜덤값을 기반으로 정해진 시간만큼 기다리며, 만약 무선 매체가 사용중이면 점차 그 간격을 늘려가며 기다린다.

    • 이후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 이와 반대외는 전이중화통신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므로, 충돌가능성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충돌을 사전에 방지하는 매커니즘이 필요하지 않다.

2-3. WIFI

  • 유션 LAN 에 흐르는 신호를 무선 LAN 신호로 바꾸어주어 신호가 닿는 범위 내에서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

  •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무선접속장치인 AP, Access Point 가 있어야 한다. 흔히 이를 공유기라고 부른다.

  • 와이파이 이외에도 지그비, 블루투스 등이 있다.

2-4. BSS

  • Basic Service Set 은 기본 서비스 집합을 의미하는데, 와이파이처럼 단순히 공유기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 BSS 내에 있는 AP 들과 장치들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다.

  • 하나의 AP 만들 기반으로 구축되어있어서 사용자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은 불가하다.

2-5. ESS

  • Extended Service Set 은 하나 이상의 연결된 BSS 그룹을 말한다.

  • 장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하며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자유롭게 이동을 해도 여전히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 BSS 가 두개 이상으로 묶였다고 이해하면 되고, 때문에 BSS 보다 더 많은 가용성과 이동성을 지원한다.

3. 무선 LAN 을 이루는 주파수

  • 무선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는 무선 신호 전달 방식을 이용하여 2대 이상의 장치를 연결하는 기술이다.

  • 비유도 매체인 공기에 주파수를 쏘아서 무선 통신망을 구축한다.

  • 주파수의 대역은 2.4GHz 와 5GHz 대역 중 하나를 써서 구축을 하게 된다.

  • 2.4GHz 의 경우, 장애물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더 넓은 접속 범위를 지원하고, 호환성이 좋다.

    • 하지만 전자레인지, 무선 등 전파 간섭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고

    • 속도도 느리다.

    • 호환성이 좋다는 말 = 오래된 노트북이나 휴대폰과도 연결이 가능하다!

  • 5GHz

    • 사용할 수 있는 채널 수도 많고 동시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깨끗한 전파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 속도도 더 빠르다.

  • 따라서 보통은 5GHz 를 사용하는 것이 더 쾌적하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