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런치 북 <개발보단 고객 개발>

고객을 만나지 않고는 어떤 것도 하지 않겠다

  • 사내의 그 누구도 고객을 만나지 않았다. 다만 우리가 꿈꾸는 비전과 이상, 전략적 중요성만을 이야기할 뿐이었다.

  • 어디서부터 무얼 어떻게 건드려야 할지 몰랐다. 왜냐면 고객을 만난 적이 없으니까.

  • 다시 돌아간다면 무엇을 하겠나? : 고객을 만나지 않고는 어떤 것도 하지 않겠다.

  • 다시 돌아간다면 아래와 같이 해볼 것이라고.

    • 1단계. 단계별로 할일 설정하기

      • 우리가 타깃하는 시장과 고객, 시장의 규모, 고객의 규모를 파악한다.

      • 고객을 실제로 만나본다.

      • 실제로 만나본 고객은 누구인지, 어떤 문제를 겪고 있는지, 무엇으로 이를 해결하고 있는지, 최종적으로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한다.

      •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제공해서 이들의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는지, 어떤 제품을 만들어야하는지 고민한다.

    • 2단계. 고객 만나기

      • demograpthic : 타깃 시장의 고객은 누구? 직업? 연차?

      • pain point

        • 어떤 문제를 겪고 있는가

        • 언제, 어떤 맥락에서 어떻게 그 문제를 겪고 있는가

      • solution :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현재는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가

        • 진짜 문제라면 고객들은 어떤방법을 써서라도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을 것이다.

      • value proposition : 우리 고객이 진짜 이루고자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 huddle : 그 문제를 해결하는데 우리의 기존 서비스에서 불충분하거나 아쉬웠던 점은 무엇인가

        • 기존에 제공하던 서비스가 있다면,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해결되는 경우가 있다.

    • 3단계. 고객에 대해 알게된 내용으로 고객 이해 정리하기 (아래는 글쓴이의 예시)

      • demograpthic : 우리 서비스가 타깃으로 하는 고객은 30대 초반 5년차 이하 주니어 직장인으로, 디자인/브랜딩/마케팅/자영업에 종사하는 1인 프리랜서이다.

      • pain point : 이들은 커리어 성장과 실력 향상에 대한 고민이 있으나 기존의 커리어 플랫폼과 커뮤니티, 그리고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내용은 모두 10인 이상의 기업을 위한 것이어서 도움되는 내용을 얻지 못하고 있다.

      • solution :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온/오프라인 커뮤니티에서 정보를 교환하고 있으나

        • 어디에 가서 어떤 사람들을 만나야할지 불분명하고

        • 이를 주선해주는 사람이 없어서 곤란하다

        • 이벤트 성의 커뮤니티는 고민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느낀다.

      • value proposition : 제조 직군의 경우는 공방처럼 공간을 기반으로 한 커뮤니티나 작업 공간이 있지만, 이런 사람들은 이런 공간도 누리고 있지 못하다. 직업의 특성상 평일/주말 그리고 공간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근무하고 있어서 1인 사무직이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공간을 찾고 있다. 더불어 이 공간에서 비슷한 사람들과 구체적으로 함께 협업할 기회, 혹은 자신의 작업물을 전시할 기회를 찾고 있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