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sexy Business 뉴스레터에서 얻는 인사이트

언젠가부터 우연히 구독하게 된 뉴스레터가 있다. 그 이름은 바로 언섹시 비즈니스. 평범한(?) 사람들의 창업이야기를 뉴스레터 형식으로 정리해주는 콘텐츠인데, 창업에 관심이 많은 나로서는 꽤나 흥미롭게 읽고 있다.

뉴스레터에서 그냥 소비하고 넘겨버리는 것이 영 아까워서 오늘은 이렇게 그동안 읽은 뉴스레터와 그로부터 얻은 인사이트를 간단히 정리해보고자 한다.

  • 요약

    • 단 한 편의 드라마도 보지 않고 일일 드라마 블로그 Soap Hub 을 만들어 100억원에 판매한 사람의 이야기.

  • 배경

    • 2016년 페이스북에서 여러 그룹을 운영하다가 "일일 드라마" 카테고리에 engagement 가 매우 높다는 사실을 발견함. 이를 주제로 블로그를 만들면 많은 사람들이 보러와 트래픽이 높을 것임을 예상

  • 과정

    • 워드프레스로 못생긴 사이트 2시간만에 만듬

    • upwork 로 블로그에 일일드라마 관련 포스팅을 해줄 프리랜서 작가 고용하여 1일 1업로드.

    • 3개월간 운영하며 모니터링. engagement 높은 것을 보고 지속하기로함.

    • 페이스북 마케팅 + 이메일 푸시알람, 페이스북 페이지 등 유저 유입 채널을 다각화

    • 시간이 지나고 일일 드라마의 스포일러를 보고 싶은 사람들이 블로그에 유입되며 트래픽이 치솟기 시작.

    • 2018년, 3년만에 100억원에 블로그를 매각함

  • 인사이트

    • 트래픽이 발생하는 곳, engagement 가 높은 곳을 주목하고 그 기회를 놓치지 않고 실제 행동으로 옮겨 결과를 만들어냈다.

    • 자신의 노력을 최소화하여 비즈니스 가설 검증을 진행했다. 블로그도 직접 만들지 않았고, 심지어는 그 내부에 들어가는 콘텐츠로 직접 제작하지 않았다. 그는 최대한 빠르게 자신의 노력 없이 가설을 검증해냈다.

    • 자신이 관심없는 부분은 아웃소싱하고, 자신이 흥미로워하는 부분, 재미있어하는 부분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만들었다.

  • 강아지 경사로 사업을 인수한 이유

    • 타겟 유저층의 명확한 문제를 해결해주는 도구이다.

    • 사업 운영하는 오너가 페이스북 광고를 일절 하지 않고 있었다. 심지어 이메일 마케팅을 포함하여 리텐션을 높일 수 있는 어떠한 액션도 하지 않았다.

    • 웹사이트가 올드했고, 결제로 넘어가는 UX가 매우 불편했다.

    • SNS 팔로워가 많았지만 구매전환에 활용을 제대로 못하고 있었다.

  • 인수 후 사업을 키워나간 과정

    • 웹사이트를 shopify 로 전환한다. 모든 이미지, 비디오, 워딩을 재정비한다.

    • 경사로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영상을 찍어서 광고로 만든다.

    • 제작한 동영상 광고를 가지고 FB와 Instagram 에 페이드 광고를 시작한다.

    • 이메일 마케팅도 시작한다.

  • 인사이트

    • 대부분 스타트업의 성공담이 0 -> 1 인것에 반해, 그는 1 -> 10을 만든 사례가 있다.

    • 그는 이런 비유를 사용했다고 한다. "이건 부동산 사업과 비슷하다. 나는 뜰 가능성이 높은 동네를 찾아서, 리모델링 하는 것을 좋아한다".

    • 비즈니스를 하고 싶다면 처음부터 생각하는 것도 좋지만, 이미 꽤 괜찮은 비즈니스이지만 마케팅을 잘 못하고 있는 곳을 찾아서 마케팅과 리텐션에만 신경써도 성장의 기회를 찾을 수 있다.

  • 1달에 한번 구독자들에게 큰 규모의 투자를 받은 회사들의 리스트를 보내주는 Cyber Leads 서비스

  • 과정

    • 산업 내 관계에 주목.

      • 신규 투자를 받은 회사들은 빠르게 회사를 키우고 싶어한다. 외주를 주어서라도 단기간 목표달성에 더 적극적이다.

      • 에이전시들은 자신을 고용할 확률이 높은 사람들에게 영업을 하고 싶어한다. (가능성이 높기 때문) 이제 갓 투자를 받은 회사들은 그러한 조건을 충족한다.

    • 비즈니스 모델 : 1달에 한번 큰 규모의 투자를 받은 회사들을 리스트업해서 전달. 매월 구독료 25만원.

    • 다양한 툴로 자동화 : Stripe, Twitter, Linkedin, SEO, Gmail, Zoom 등

  • 인사이트

    • 돈을 버는 것에 꼭 엄청난 아이디어와 기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간단하다. 남들이 하기 싫은 것을 대신해주고, 남들의 페인포인트를 해결해주면 돈이 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어떤 기술을 사용하건 사용자들에게는 중요하지 않다.

    • 중요한 것은 누가 어떤 "고통"을 받고 있고, 이를 "무엇이" 해결해줄 수 있느냐이다. 그 사이의 상호작용만 자세히 관찰하고 있어도 기회를 파악할 수 있다.

    • 비즈니스에 필요한 것은 사람들의 "불편"이 아닌 것 같다. "고통"정도는 되어야 사람들이 돈을 내고 서비스를 쓰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평소에 사람들의 고통과 그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보는 연습을 훈련처럼 해봐야겠다.

      • 이를 콘텐츠로 승화시키는 방법은 없을까?

        • 인스타그램 채널(투덜투덜, 나만불편해? 등) : 내가 겪고 있는 고통, 사람들이 겪는 고통을 썸네일로 잡아서 어그로(?)를 끌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생각하는 연습

        • 유튜브 채널(나만불편해?) : 특정 장소, 특정 상황에서 겪는 고통에 대한 나만의 창의적인(?) 해결책을 3-5가지 정도로 상상력을 펼쳐볼 수 있는 채널. 댓글로는 찬/반 여론이 형성되지 않을까?

        • 이를 위해서는 매일 뉴스를 보게 될 것이고 책을 더 많이 읽고, 콘텐츠를 보거나 사람들을 구경하거나, 친구들과 놀러가거나 여행을 가더라도 생각하고 기록할 것들이 잔뜩 있을 것 같다.

  • 요약

    • 로켓 스타트업이 아니라 작은 비즈니스 창업자들을 인터뷰한 블로그로 1년 매출 6억 5천만원을 만들어낸 Starter Story

    • Pat Walls 가 혼자 운영하는 블로그. 1달 평균 방문자 14만명, 누적 매출 13억원.

  • 과정

    • React 로 블로그 만들어 런칭. 친한친구 3명 인터뷰해서 컨텐츠 배포

    • 마케팅 1. 프로덕트 헌트, 레딧, 해커뉴스 등 프로덕트 커뮤니티에 적극적으로 홍보. 레딧이 가장 효과적이었음. 공유 방식은 인터뷰 본문 중 흥미로운 부분 일부 + 블로그 링크. 이를 통해 블로그로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

    • 마케팅 2. SEO : 검색 쿼리에 직접 대응될 수 있도록 랜딩 페이지 제작. 예를 들면 구구절절 늘어진 인터뷰 보다도, "지붕 수리 비즈니스를 시작하는 방법"이라는 타이틀 페이지를 별도 제작해서 사람들이 검색어를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메일 구독을 통한 유료 전환 : 일부 게시글을 요약해서 구독자에게 이메일을 전송. 전문을 읽고 싶다면 유료 구독을 해야한다. 현재 대부분의 매출이 발생하는 곳이 이곳.

  • 인사이트

    • 자존심을 버리고 거절을 환영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 자기가 궁금해하는 것, 누구나 궁금해할법한 것에 집중하여 이를 콘텐츠로 만들어내고 비즈니스로 승화시켰다.

    • 마케팅은 가장 기본이다.

  • 요약

    • shopify 디자인 템플릿을 제작해서 판매하는 회사 Archetype Themes 를 5년만에 350억원에 매각한 사람들의 이야기

  • 과정

    • Shopify 에서 템플릿 부서에 소속되어 많은 무료 디자인 템플릿을 만들었던 Carson 과 디자이너 Paul. 더 아름다운 디자인에 집중한 프리미엄 템플릿을 판매하는 서비스를 만들자는 생각으로 Shopify 퇴사하고 Archetype 을 창업

    • 해당 서비스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템플릿은 350달러에 판매중. 높은 가격이지만, 외주 디자이너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저렴한 가격임. 무료 템플릿 디자인과 디자인 외주 사이의 적당한 포지션을 잘 찾아낸 케이스.

    • 창업 타이밍도 좋았다. 마침 당시에는 프리미엄 템플릿 업체들이 많지 않았기에 모바일 대응, 빠른 동작, 아름다움까지 겸비한 이들의 비즈니스가 흥행할 수 밖에 없었음.

  • 인사이트

    • 빠르게 성장하는 환경에 본인을 노출시키는 것의 중요성.

    • 타이밍은 중요하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운이 아니다. 시장의 빠른 변화와 그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위해 개인이 한 노력이다. 변화의 흐름을 잘 파악하고 그에 적절한 시기에 올라탈 수 있어야 한다.

    • 내가 현재 속해있는 조직, 현재 처해있는 상황에서의 페인포인트, 개선점에 집중하여 비즈니스 기회를 포착할 수 있다. 절대 일상의 무엇 하나도 허투루, 당연하게 생각하지 말자.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