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nection check
통신 확인하기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통신 확인하기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역할 : Bit Stream(이진수 흐름)을 전기, 빛, 등의 신호로 변환
PDU(Protocol Data Unit) : Bit
대표장비 : 케이블(LAN-UTP, WAN-Serial), 허브, 리피터, 커넷터(LAN-Rj45) 등
유형범위 : 로컬 장비간에 전성된 전기 혹은 빛의 신호
역할 : 물리적 주소를 이용해서 노드(L2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는 3계층 이상의 장비) 간 연결
PDU : frame
대표장비 : 브릿지, L2 스위치 등
유형범위 : 로컬 장비 간에 전송된 하위 수준 데이터 메시지
프로토콜 및 기술 : LAN-Ethernet Protocol, WAN-PPP, HDLC 등
역할 : 논리적 주소로 최초 출발지로부터 최종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결정한다.
PDU : packet, 데이터그램
주소 : 논리적 주소 - IP(4 byte), IPX, Apple Talk
대표장비 : 라우터, L3 스위치
유형범위 : 로컬 혹은 원격 장비 간의 메시지
프로토콜 및 기술 : IPv4, IPv6, ARP, ICMP, IGMP, Routing Protocol(RIP, EIGRP, OSPF)
역할 : 포트번호를 이용해서 서비스를 구분하고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한다.
PDU : segment
주소 : Port(2 byte), well-known : 0-1023, 그외 : 1024-65535
대표장비 : L4 스위치
유형범위 :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간의 통신
프로토콜 및 기술 : TCP(확인응답, 신뢰성), UDP(빠른속도), NetBEUI
역할 : 응용 프로그램 간 세션 수립, 유지, 종료
세션 : 두 사용자 간의 작업 시작부터 끝까지의 실시간 논리적 연결을 의미
유형범위 : 로컬 혹은 원격 장비 간의 세션
프로토콜 및 기술 : NetBIOS, 소켓, 네임드 파이프, RPC
역할 : 데이터의 표현 - 확장자 연결, 압축, 암호화, 변환
유형범위 :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표현
프로토콜 및 기술 : SSL, redirector, MIME
역할 :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원본 데이터를 생성한다.
PDU(Protocol Data Unit) : 사용자 데이터
유형범위 :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프로토콜 및 기술
HTTP(TCP_80), HTTPS(TCP_443), SMTP(TCP_25), POP3(TCP_110), FTP(TCP_20,21), TFTP(UDP_69), Telnet(TCP23), SSH(TCP_22), DHCP(UDP_67, 68), DNS(UDP_53), SNMP(UDP_161, 162)
packet 을 캡쳐하여 통신 과정에서 일어난 이벤트를 기록할 수 있다.
ping check 을 통해서 ip 정보만으로 서버에 요청이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
protocol 을 사용하며
IP 가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아서 네트워크 장애나 중개 라우터 등의 에러에 대처할 수 없을때, 오류정보 발견 및 보고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이다.
TCP 가 아니기 때문에 포트번호가 없다.
RTT, Round Trip Time 이란 한 패킷이 왕복한 시간을 의미한다.
네트워크 시간은 연결시간, 요청시간, 응답시간으로 구성된다.
RTT 가 높을 경우, 어느 구간에서 오래걸리는지 확인해야한다.
논리적인 주소인 IP 주소를 이용해서 물리적인 주소인 MAC 주소를 알아와 통신 가능하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ARP Request 를 Broadcast 로 요청하면, 수신한 장비들 중, 자신의 IP에 해당하는 장비가 응답을 한다.
응답받은 NIC 포트정보와 IP, MAC 주소를 기반으로 이후 통신을 진행하게 된다.
서비스의 정상적인 구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telnet [target server ip] [target service port]
서버는 서비스에 하나의 포트번호를 오픈해두고 많은 사용자와 연결을 맺을 수 있다.
그렇다면, 현재 서버에서 프로세스별로 몇 개의 연결이 가능한지 확인해볼 수 있을까?
우선 /etc/hosts 파일에 정적으로 설정한 정보를 확인한다.
로컬의 DNS Cache를 확인한다.
/etc/resolv.conf에 설정한 정보를 기반으로 DNS 서버에게 질의한다.
DNS 서버는 정보가 있으면 반환하고 없으면 본인의 상위 DNS에게 질의를 하여 정보를 알아온다.
도메인에 해당하는 IP를 알게되면 DNS Cache에 추가한다.
이유는
Http 를 기반으로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별로 사용하는 응답코드도 , 의미도 .
형태 참고
tcpdump,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패킷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