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L, DML

개념

  •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최상위 단위이다.

    • 구조화된 데이터의 특정 집합이 저장되는 테이블의 모음이다.

  • 데이터베이스 내에는 스키마라는 하나 이상의 개체소유권 그룹이 있다.

  • 스키마는 테이블, 뷰, 프로시저 등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개체가 포함되어있다.

테이블

  • 행 : 레코드, 튜플

  • 열 : 필드, 속성

    • 각 테이블에서 컬럼은 1024 개까지만 생성이 가능하다.

제약조건의 종류

  • NOT NULL : NULL 값은 입력할 수 없다.

  • UNIQUE : 다른 row 와 중복된 값을 입력할 수 없다.

  • PRIMARY KEY : NOT NULL + UNIQUE

  • FOREIGN KEY : 다른 테이블의 컬럼을 조회해서 무결성 검사한다.

    • 다른 테이블에 있는 정보와 함께 조회할 때 키로 사용

  • CHECK : 조건으로 설정된 값만 허용한다.

다른 데이블에 검색 결과 입력하기

검색한 결과를 테이블로 저장하는 방법

select * from nasdaq_company where ipo_year = 2021;
# 1. 이미 생성된 테이블에 넣는 방법
insert into nasdaq_company_ipo_2021 select * from nasdaq_company where ipo_year = 2020;	-- select 문에 맞는 데이터만 조회하여 기존 테이블에 데이터 삽입 

# 2. 새로운 테이블을 생성하여 넣는 방법
CREATE TABLE nasdaq_company_ipo_2021 AS SELECT * FROM nasdaq_company where ipo_year = 2021;	-- 2021 데이터만 조회하여 새로운 테이블 생성 

임시 저장하기

  • 지역 임시 테이블, local temporary table

    • 테이블 생성시 앞에 # 붙인다.

    • 한 세션 내에서만 유효함. 세션 종료되면 자동으로 삭제됨

  • 전역 임시 테이블, global temporary table

    • 테이블 생성시 ## 붙여서 생성한다.

    • 전체 데이터베이스에서 공유 가능

    • 역시 세션 내에서만 유효. 종료되면 자동 삭제됨

  • 데이터베이스의 별도 저장 공간에 저장된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