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 한국은 보통 규제가 세다고 유명하다. 하지만 규제는 당시에는 문제를 해결해주어 도움이 되지만, 시간이 지난 후에는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어서 경제활동을 종종 방해하기도 한다.

  • 그렇지만, 규제를 낮춘다고 해서 경제성장률이 항상 높아지는 것만은 아니다.

공기업과 규제

  • 한국전력공사의 예를 들어보면, 정부가 발전 부문의 안전규제를 대폭 강화하자, 이에 비용이 증가하면서 한국전력공사에게도 나쁜 영향을 미쳤다.

    • 2021년 말 기준 총 부채 146조원

  • 우리나라에서는 공기업이 정부의 규제를 대신 집행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 한국전력 - 신재생에너지 사업 실적

    • 부동사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고분양가 관리지역"의 분양가 상한 기준을 낯추는 심사기준 개선안 발표 -> 사실상 정부가 해야하는 역할이지만, 공기업이 대신 맡아서 전달 및 실행

  • 산업은행, 수출입은행과 같은 국책은행은 구조조정집행을 통해 정부의 역할을 대신한다.

    • 기업을 살릴지 망하게할지 결정하는데, 대부분은 정치권의 입김이 개입된다.

정부가 공기업을 통제하는 수단

  1. 인사권 : 대부분의 경우, 공기업의 CEO 는 정부에서 임명된다.

  2. 감사 : 감사원으로부터 정기적으로 감사를 받아야 하는데, 매우 강도가 높음. 밉보이면 힘들다.

  3. 공공기관 평가권 : 이 평가를 통해 공공기관 임직원들의 성과급이 결정된다.

국민연금의 힘

  • 2019년 한진그룹에서 조양호 회장이 대한한공 대표이사직을 잃게 되었다.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은 2대 주주인 국민연금.

  • 국민연금이 기관투자자로서 힘을 발휘할 수 있었던 것은 모두 스튜어드십 코드 덕분이다.

    • 이를 통해 기관투자자도 적극적으로 의결권 행사를 할 수 있게 권장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 기관이 투자기업의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투명한 경영을 끌어내고자 도입됐다고 한다.

시민단체

  • 수출 비중이 큰 한국 기업은 국제적인 규제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의 경우, 이행계획을 세우는 것은 국가이지만, 이를 실행하는 것은 결국 기업이다. 이 규제를 지키기 위해 기업은 신경써야할 것이 많다.

  • 참여연대 : 1994년 참여와 인권이 보장되는 민주사회 건설을 목표로 만들어졌다. 사회 전 분야에서 활동중.

  • 시민단체는 기업 활동을 감시하고 정부와 국회의 빈틈을 메운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