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의 민족 역기획 사례

도그냥 역기획 스터디 참고

1. 서비스 소개

  • 우아한형제들이 만든 배달 중개 플랫폼 배달의 민족

  • 배민스토어 새롭게 런칭

1-1. 서비스 비전

  • 문 앞으로 배달되는 일상의 행복

  • 더이상 음식 배달 앱이 아닌 이커머스 플랫폼이다. 슈퍼앱이 될 것이다.

1-2. 서비스 목표

  • 슈퍼앱

    • 하나의 앱으로 여러가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

  • 사용자들이 여러 개의 서비스를 잘 알고 잘 탐색하고 잘 이용하기 위한 근본적인 구조를 갖춘 앱

    • 여러 개의 다양한 서비스를

    • 일관성 있게 잘 탐색하고

    • 잘 이용할 수 있는 앱

1-3. 서비스 전략

  • 홈 화면 개편

    • 음식 카테고리 위주에서 사용자 가치를 중심으로 카드 형태로 제공

  • 관련 상품의 연결

    • 본스치킨

      • 배달

      • 쇼핑 라이브

      • 선물하기

  • 공통된 기능의 연결

    • 배민 1 - 배달 - 포장 서비스의 장바구니 연결

    • 찜, 주문내역 기능들을 연결

1-4. 서비스 구조

  • 주문 결제 이후에는 자연스럽게 프로덕트 내에서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 있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함

2. 문제 의식

2-1. 문제 정의

  • 주문 혹은 배달완료 라는 목적을 달성한 이후부터는 탐색할 수 있는 연결의 고리가 부족하다.

2-2. 개선방향

  • A를 이용완료한 고객에게 B, C 를 또 제안하면서 고객의 가치 사슬을 늘려야한다. 선순환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 주문완료라는 목적 달성 이후에도 또 다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A는 어때? 하는 식으로 제안하면 어떨가

  • 고려해야할 부분 1가지는

    • 어느 지점에서 어떤 방식과 어떤 기준으로 제안을 할 것인가!

  • 어느 지점

    • 대기 시간이라는 고객의 가치를 잠식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이 지점을 제안지점으로 활용하자.

  • 어떤 방식

    • 커머스 - 쿠팡

      • 구매 넘어가기 전에 특가상품, 인기상품, 추천상품을 반드시 보여주도록 하여 추가 구매를 유도

    • 콘텐츠 - 넷플릭스

      • 영화가 끝나면 바로 추천 영상 예고편을 자동 재생한다.

      • 태깅 + AI 알고리즘

    • 배민의 특색 고려

      • 뭐먹지

      • 쇼핑 라이브

  • 어떤 기준

    • 주문내역 그룹별로

      • 배민은 현재 개인화 서비스를 B마트에서 제공하고 있는데 추천 기준이 좋아요나 찜하기 기반이 아니라 주문 내역에 기반한 것으로 보여진다.

      • 현재 목표가 개인에게 최적화된 서비스라기 보다는 고객이탈 전에 다른 탐색 기회를 하나 더 주자는 것이므로 굳이 AI 추천일 필요는 없다고 판단

  1. 음식 배달을 기다리는 시간에

  2. 고객 주문내역(카테고리)를 기준으로 음짤, 쇼핑라이브 영상, 사진 등 배민다운 콘텐츠를 보여줌으로써

  3. 다른 서비스로의 탐색을 한번 더 만들어 낸다.

3. 개선

3-1. 롤아웃 플랜

음식을 주문하고 기다리는 웨이팅 화면에서 쇼핑라이브 등 다른 콘텐츠를 통해서 다른 서비스로의 탐색을 한번 더 만들어내본다.

  • 실제 고객 주문 데이터 혹은 고객 인터뷰를 통해서 주문 카테고리별로 다양한 종류의 페르소나 그룹을 만든다.

    • 그룹1 : 야식 카테고리

  • 페르소나 그룹별로 추천 콘텐츠를 제작한다.

  • A/B 테스트를 통해서 효과성을 측정하고 정식 출시

  • 앞으로 개인화 추천을 위해 좋아요 기능 추가하여 데이터 수집

  • 전국별미, 쇼핑라이브 등 택배 배송 상품에는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해본다.

3-2. 기대효과 및 목표 매트릭

  • 서비스 이용 완료 이후에도 탐색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다.

  • 목표 매트릭

    • 앱 체류시간

    • 1일 구매횟수

    • 찜, 장바구니 상품 증가율

    • 이용빈도 증가율

Last updated